구글 클라우드를 이용한 마인크래프트 24시 서버 개발기 1

1. 개요

마인크래프트는 2011년에 처음 개발되어 특유의 자유성과 그래픽으로 지금까지 전 세계인에게 사랑받고 있는 게임입니다.
이런 게임의 특성 상 여러명이 함께 모여 플레이할 수 있는 멀티플레이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같은 랜 안에 있어야만 간편한 접속이 가능하고 이마저도 호스트의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어야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이용하면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업들의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해 개인 컴퓨터를 꺼도 다른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여러 곳이 있는데요, 국내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등이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무료 크레딧도 적고 가격이 매우 비싼 편입니다. 해외로 가보면 업계 대표격인 아마존 웹서비스(AWS), MS의 애저(Azure), 구글의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가 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에서 접근 가능한 콘솔을 제공하는 GCP를 사용할 것입니다.

2. 시작하기

사진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먼저 GCP에 접속합니다. 1 GCP에 처음 가입하면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300$의 크레딧이 주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은 가입시 처음 한번만 진행하면 됩니다.
좌상단의 탐색 메뉴를 클릭한 후 Compute Engine이라는 메뉴를 클릭합니다.
2 VM 인스턴스 메뉴에 들어간 후 새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3 인스턴스 생성 메뉴에 들어오면 여러가지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제일 먼저 인스턴스 이름을 설정합니다. 4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은 아직(2020.01.09 기준)한국 리전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핑을 줄이기 위해 가장 가까운 도쿄 리전을 선택합니다.
5 한달간의 운영 결과 스탠다드 1이 소규모 서버 운영에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 스탠다드 1을 선택합니다.
6 하드 용량을 선택하기 위해 변경을 누르고
7 용량에 20을 할당합니다.(10기가와 20기가의 월 요금 차이가 미미하기 때문에 20기가로 설정하였습니다.)
8 방화벽 트래픽을 모두 체크해준 후 더보기를 클릭합니다.
9 네트워킹 탭을 클릭한 후 연필모양 아이콘을 눌러 고정 IP를 할당해 줍니다.
9-1 외부 IP탭을 클릭하고 IP주소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10 이름을 static_ip 정도로 설정한 후 예약을 누르면 고정 IP가 할당되고 나중에 이 IP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11

이런 과정을 모두 거치고 나면 데비안 기반 VM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이상으로 1차시 포스팅을 마치고 다음 포스팅에선 방화벽 설정과 FTP 설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